요즘 노트북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투인원 노트북, HP 엔비 x360을 사용해봤습니다. 태블릿처럼 활용 가능한 유연성과 고급스러운 디자인 덕분에 사람들에게 인기 많은 제품이죠. 이번 글에서는 이 노트북이 과연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실사용에 적합한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첫인상과 외관 디자인
HP 엔비 x360을 처음 봤을 때 가장 인상 깊었던 건 깔끔한 실버 컬러와 세련된 힌지 디자인이었습니다. 투톤 컬러로 마감된 키보드와 외부 디자인은 고급스러움을 더했고, 힌지 강도도 짱짱해서 노트북 모드에서 텐트 모드까지 안정적으로 변환이 가능했습니다.
무게는 약 1.38kg으로 투인원 노트북 기준으로는 비교적 가벼운 편이었습니다. 한 손으로 노트북을 여는 건 어렵지만, 다양한 모드로 사용할 때도 흔들림 없이 잘 고정됐습니다. 휴대성과 사용성을 동시에 잡은 느낌이었죠.
디스플레이와 펜 활용
HP 엔비 x360은 14인치 2.8K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어요. HDR과 120Hz 주사율을 지원해 선명한 화질과 부드러운 화면 전환이 돋보였죠. 특히 영상 편집이나 디자인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정도로 색 재현율이 뛰어났습니다.
펜 입력은 MPP 방식을 지원하며, 와콤 밤부 펜과 같은 서드파티 펜도 활용 가능했습니다. 필기감은 부드러웠지만, 빠르게 글씨를 쓸 때는 약간의 레이턴시가 느껴질 수 있었습니다. 팜 리젝션 기술이 잘 작동해 화면에 손을 대고도 필기가 가능했습니다. 다만, 펜 수납부가 없어 휴대 시 조금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성능과 발열 관리
HP 엔비 x360은 AMD 라이젠 7 8840HS와 라데온 780M 내장 그래픽을 탑재해 충분한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문서 작업, 영상 감상, 캐주얼 게임까지 문제없이 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AAA급 고사양 게임을 플레이하기에는 다소 아쉬운 성능이었죠.
발열 관리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CPU 온도는 70도 이하로 유지됐으며, 키보드 표면 온도도 크게 높지 않았습니다. 소음은 고성능 모드에서 최대 45dB 정도로 유지돼 조용한 환경에서도 무난히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배터리와 포트 구성
배터리 용량은 59Wh로, 화면 밝기 60%와 절전 모드 기준으로 약 6시간 정도 지속됐습니다. 올데이 사용은 어려웠지만,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용량을 감안하면 준수한 수준이었습니다. 기본 제공되는 65W PD 충전기로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충전할 수 있어 편리했습니다.
포트 구성은 USB-A, USB-C, HDMI 2.1, 3.5mm 오디오 잭 등으로 실용적이었지만, USB-C가 3.2 버전인 점과 포트 배치가 다소 비좁은 점은 아쉬웠습니다.
추천 활용 팁
- 작업용으로 활용할 때
-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60Hz로 설정해 배터리 효율을 높여 보세요.
- 필기를 자주 한다면
- 와콤 호환 펜을 활용하고, 펜 설정에서 측면 버튼을 비활성화하면 더 편리합니다.
- 발열이 걱정된다면
- 저소음 모드를 활성화해 열기를 줄이고 조용한 환경에서 사용하세요.
HP 엔비 x360 최종 정리
HP 엔비 x360은 태블릿과 노트북의 경계를 허문 투인원 제품으로, 디스플레이 품질과 세련된 디자인, 유연한 활용성 덕분에 많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고사양 게임이나 장시간 배터리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을 수 있지만, 영상 편집, 필기, 간단한 작업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습니다.
다음 노트북을 고민 중이라면 HP 엔비 x360을 한 번 고려해 보세요. 실용성과 디자인, 그리고 유연한 사용성을 갖춘 이 노트북이 만족스러운 선택이 될 수 있을 겁니다!
'정보바다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파일럿 뜻 및 무료와 유료 차이점 (0) | 2025.01.21 |
---|---|
Lenovo LOQ 게이밍 노트북 리뷰 가성비로 끝판왕을 노리다 (0) | 2025.01.21 |
아수스 비보북 프로 15 리뷰 완전 정리 작업과 게임 모두 한 번에! (0) | 2025.01.21 |
HP 파빌리온 15 대학생을 위한 가성비 노트북 선택 (0) | 2025.01.21 |
에이서 니트로 V 15 가성비 끝판왕 게이밍 노트북의 선택 (0) | 2025.01.21 |